이바르 예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바르 예베르는 노르웨이 출신의 물리학자이자 생물물리학자이다. 1960년 얇은 막 절연체를 사이에 둔 초전도체 사이의 터널 효과 실험에 성공하여 1973년 에사키 레오나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초전도체에서도 터널 효과가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여 BCS 이론의 탄생에 기여했으며,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의 조지프슨 효과 발견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후 생물물리학 연구에 집중했으며, 지구 온난화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미국 물리학회를 탈퇴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물리학자 - 크리스티안 비르켈란
크리스티안 비르켈란은 오로라와 지자기 현상 연구, 태양풍-오로라 형성 이론 제시, 비르켈란-아이데 공정 개발을 통해 노르웨이 산업 발전에 기여한 노르웨이 과학자이다. - 노르웨이의 물리학자 - 펄 오스랜드
베르겐 대학교 교수인 펄 오스랜드는 노르웨이 물리 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물리학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다수의 저서를 출판하고 노르웨이 왕립 과학 문헌 협회 회원이 되었다. - 노르웨이의 무신론자 - 프리티오프 난센
프리티오프 난센은 노르웨이의 탐험가, 과학자, 외교관이자 인도주의자로서, 스키를 이용한 그린란드 최초 횡단, 북극해 탐험, 국제 연맹의 난민 구호 활동 등으로 유명하며 해양학과 신경해부학 분야에 기여했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노르웨이의 무신론자 - 토르 헤위에르달
토르 헤위에르달은 고대 문명 교류 가능성을 탐구한 노르웨이 인류학자, 탐험가, 작가로, 콘티키 호를 이용한 태평양 횡단 등 다양한 탐험을 통해 독창적인 이론을 펼쳤으나, 학계에서는 방법론적 결여로 논란이 있었다. - 렌슬리어 공과대학교 동문 - 데니스 티토
데니스 티토는 항공우주공학 학위를 받고 NASA에서 근무했으며, 투자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하고, 2001년 소유즈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을 방문한 최초의 민간 우주 비행객이다. - 렌슬리어 공과대학교 동문 - 레이 톰린슨
미국의 프로그래머 레이 톰린슨은 ARPANET에서 이메일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메일 주소에 앳(@) 기호를 도입하여 이메일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바르 예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바르 예베르 |
원어 이름 | Giæver |
로마자 표기 | Giæver |
출생일 | 1929년 4월 5일 |
출생지 | 베르겐, 노르웨이 |
국적 | 노르웨이 미국 |
종교 | (정보 없음) |
교육 | |
모교 |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
경력 | |
직장 | 제너럴 일렉트릭 |
연구 분야 | |
분야 | 고체물리학 생물리학 |
주요 업적 | 터널 현상 ( 초전도체 ) |
수상 | |
수상 | 올리버 E. 버클리 응축 물질 상(1965년) 노벨 물리학상(1973년) |
노벨상 수상 이유 | 반도체 및 초전도체 내 터널 효과 실험적 발견 |
2. 생애
이바르 예베르는 1929년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태어나 노르웨이 공과대학교에서 기계 공학을,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다.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근무하며 초전도체 사이의 터널 효과를 발견하여 1973년 노벨 물리학상을 에사키 레오나,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과 함께 수상했다. 이후 생물물리학 분야를 연구했으며, 1965년 올리버 E. 버클리 응집 물질상, 1974년 즈워리킨 상을 받았다.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명예교수, 오슬로 대학교 대표 교수를 역임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2011년 미국 물리학회를 탈퇴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이바르 예베르는 1929년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태어났다. 1952년 노르웨이 공과대학교에서 기계 공학 학위를 취득했다.[13] 1954년 노르웨이에서 캐나다로 이민하여 제너럴 일렉트릭의 캐나다 지사에서 일했다.[13] 2년 뒤 미국으로 건너가 1958년부터 뉴욕주 니스카유나의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 개발 센터에서 일했으며, 1964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13] 같은 해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3]2. 2. 노벨상 수상 및 연구 활동
1952년에 노르웨이 기술대학교에서 기계 공학 학위를 취득했다.[13] 1958년부터 뉴욕주의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 개발 센터에서 일하면서, 1960년에 시행했던 실험을 통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되었다.[13] 에사키 레오나는 1958년에 반도체 내에서의 전자 터널 현상을 발견했는데, 예베르는 초전도 상태나 일반 상태의 금속으로 두른 얇은 층의 산화물을 이용한 실험으로 초전도체에서도 터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했다.[14] 그의 실험은 초전도체의 에너지 간격을 발견함으로써 1957년에 초전도체의 BCS 이론이 탄생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14] 또한 그 실험은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에게 영감을 주었고 1962년에 조지프슨 효과를 발견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14] 그리하여 1973년의 노벨 물리학상 중 절반은 에사키 레오나와 그가, 나머지 절반은 브라이언 데이비드 조지프슨이 수여받았다.[12]이후 예베르의 연구는 생물물리학 분야에 집중되었다. 1969년, 구겐하임 장학금을 통해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생물물리학에 대해 1년간 연구했고 미국으로 돌아와서도 관련 연구를 계속했다. 그는 루이지애나 주의 루이지애나 과학 교육법 폐지를 지지하는 70명 이상의 노벨상 수상 과학자들의 서명이 담긴 서한에 공동 서명했다.[3]
노벨 물리학상 이외에도 1965년에 올리버 E. 버클리상을, 1974년에는 즈워리킨 상을 수여받았다. 예베르는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의 명예교수, 오슬로 대학교의 대표 교수였으며, 응용 생물물리학 과장을 역임하였다.[15]
2. 3. 지구 온난화에 대한 입장
이바르 예베르는 지구 온난화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표명하며, 이를 "새로운 종교"라고 칭했다. 2011년 9월 13일, 그는 미국 물리학회의 공식 입장에 반대하여 사임했다.[7]현재 예베르는 미국의 보수주의 및 자유지상주의 싱크탱크인 하트랜드 연구소(The Heartland Institute)의 과학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8]
그는 지구 온난화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과학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이 아니며, 학계는 정치적이거나 종교적이 되었다고 주장했다. 2011년 가을 미국 물리학회를 탈퇴했으며, 2012년 린더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에서 "The Strange Case of Global Warming"이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다.[11] 그는 지구 온난화 설은 사이비 과학이라고 주장한다.
2. 4. 개인사
1929년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태어났다. 1952년 노르웨이 공과대학교에서 기계 공학 학위를 취득하고,[13] 1954년 캐나다로 이민하여 제너럴 일렉트릭 캐나다 지사에서 근무했다. 2년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1958년부터 뉴욕주 니스카유나에 있는 제너럴 일렉트릭 연구 개발 센터에서 일했다. 1964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같은 해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3]예베르는 무신론자이다.[10]
1952년부터 2023년 9월 12일 94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어린 시절의 첫사랑인 잉거 스크람스타드와 결혼했으며,[9] 슬하에 4명의 자녀를 두었다.
3. 수상 경력
미국 물리학회에서 버클리 상(1965년), 미국 업적 학술원에서 골든 플레이트 상(1966년)[4], 국립 공학 아카데미에서 즈보리킨상(1975년)을 수상했다.
1985년 노르웨이 공과대학(나중에 노르웨이 과학 기술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5]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다.[6]
4. 주요 저서
- Giaever, Ivar (2016). ''"I Am The Smartest Man I Know": A Nobel Laureate's Difficult Journey'', World Scientific. .
- 예베르, 이바르 (2016). ''"내가 아는 가장 똑똑한 사람": 노벨상 수상자의 어려운 여정'', World Scientific. .
참조
[1]
논문
Energy Gap in Superconductors Measured by Electron Tunneling
[2]
문서
Bardeen, Cooper, and Schrieffer won the Nobel Prize in Physics in 1972 for this theoretical advance, which bears their initials.
[3]
웹사이트
Nobel Laureate Letter
http://www.repealcre[...]
2012-01-15
[4]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5]
웹사이트
Honorary doctors at NTNU
http://www.ntnu.edu/[...]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6]
웹사이트
Gruppe 8: Teknologiske fag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7]
웹사이트
Nobel Prize-Winning Physicist Resigns Over Global Warming
https://www.foxnews.[...]
2017-06-14
[8]
웹사이트
Ivar Giaever Profile
https://www.heartlan[...]
2017-06-09
[9]
웹사이트
Inger Giaever Obituary
https://www.legacy.c[...]
The Daily Gazette
2024-05-19
[10]
서적
"I Am The Smartest Man I Know": A Nobel Laureate's Difficult Journey
World Scientific
2016-11
[11]
웹사이트
IVAR GIAEVER (2012) The Strange Case of Global Warming
https://www.mediathe[...]
2020-12-06
[12]
웹사이트
노벨상 홈페이지
http://nobelprize.or[...]
[13]
웹사이트
노벨 재단 홈페이지 내의 그의 전기
http://nobelprize.or[...]
[14]
문서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가 197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5]
웹사이트
Ivar Giaever
http://www.rpi.edu/~[...]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